졸업 이후에는 정치학과 관련된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과학(social science)라는 학문 분과적 특징을 바탕으로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정치외교학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로 학생들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일반 기업으로의 진출뿐만 아니라 정계, 법조계, 언론, 공무원, 국제기구, 학계, 시민단체 등 정치외교학 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합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정치외교학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로 학생들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일반 기업으로의 진출뿐만 아니라 정계, 법조계, 언론, 공무원, 국제기구, 학계, 시민단체 등 정치외교학 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합니다.
주요진출분야
정계 | 국회의원, 지방의회 의원, 국회 보좌관 및 비서관, 정당사무처, 정치평론가 |
---|---|
법조계 | 법학전문대학원(Law School) 진학 후 판·검사, 변호사 |
언론계 | 신문사, 방송사, 각종 잡지사, 인터넷 매체, 포탈, 지역언론, 여론조사 기관, 정치광고 및 커뮤니케이션 업체 |
공무원 | 고급공무원(외무고시, 영사직 시험, 행정고시) 전문직 특채를 통한 외교관, 국정원, 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국회 사무처, 국회 입법조사관 |
국제기구 | UN, UN산하기구 및 전문기구, UN관련 한국위원회, 국제NGO (Amnesty International, Green Peace 등) |
학계 | 교수직, 연구직(국책연구소, 기업연구소, 민간연구소, 정당연구소, 지자체 연구소, 언론기관 연구소), 중등교사(사회과목) |
시민단체 | 경실련, 참여연대, 환경연합 등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