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연구분야 | 개요 |
---|---|
기능성나노신소재학 | 나노신소재 재료들의 디자인, 조립, 융합하여 바이오 및 에너지 응용분야로의 적용에 필요한 플랫폼을 개발하는 연구 |
바이오매스 기능개발학 | 식물바이오매스 형성에 관한 분자생물학/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신소재 및 에너지자원으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바이오매스 신소재학 | 생물이 만드는 다양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이용하여 인간생활에 유용한 기능성 천연소재 개발 및 바이오매스에너지 자원화에 관한 연구 |
생태시스템 관리학 | 삼림생태계 조성, 생태자원 보전, 지역생태정책에 관한 연구 |
생태정보학 | 생태계 계획 및 관리 의사지원시스템, GIS/RS 활용, 생태계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
식물탄수화물학 | 식물 탄수화물의 형성과 집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식물소재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와 이용에 대한 연구 |
식물환경보전학 | 지구상에 분포하는 대기, 토양, 물 등의 환경요인과 식물군집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수행 |
지속가능에너지소재 | 식물 바이오매스와 같은 지속가능한 소재의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에너지시스템 응용에 관한 연구 |
이름 | 직위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연구분야 | |
---|---|---|---|---|---|---|
김웅진 | 정교수 | 농학박사 | The University of Tokyo, Biomaterials Science, Japan | 생물재료과학 | 생물이 만드는 다양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이용하여 인간생활에 유용한 천연소재 개발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등의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신기능성 소재 개발(약물전달 시스템, 중금속 흡착제, 생체조직 재료 등)을 수행하고 있다. | sbpujkim@khu.ac.kr |
고재흥 | 정교수 | 이학박사 | Yonsei University, Plant Molecular Biology, Korea | 바이오매스 기능 개발학 |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식물소재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바이오매스 형성의 근본적인 기작을 연구하고 이를 응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한 바이오매스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jhko@khu.ac.kr |
이찬희 | 부교수 | 이학박사 | University of Georgia, Department of Plant Biology, | 식물분자생물학 | 본 실험실은 탄수화물로 이루어진 식물 세포벽 생합성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애기장대와 포플라에서 얻은 유전체 정보학을 바탕으로 작물 특히 벼와 옥수수에서 세포벽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과 Cofactors를 탐색하고 생화학적 기능을 밝히고 있다. | chan521@khu.ac.kr |
유정목 | 조교수 | 공학박사 | Yonsei University,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 화공생명공학 | 나노바이오신소재연구실은 기능성 나노 소재 개발과 응용 연구를 목표로 한다. 전도성 고분자, 형광 고분자, 기능성 하이드로겔, 바이오 매스 소재 기반의 나노 복합 소재를 개발하고 소재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적 나노/마이크로 구조와 패터닝 공정기술 개발 기반으로 바이오, 전기전자 소자, 에너지 분야의 응용 연구를 진행한다. | jmyou@khu.ac.kr |
이정태 | 조교수 | 공학박사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Polymer Textile and Fiber Engineering | 에너지저장소재 | 지속가능에너지기술연구실은 바이오매스, 세라믹, 금속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 저장과 변환에 응용할 수 있는 신소재 개발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다. 생명과학, 고분자공학, 섬유공학, 전기화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한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에 없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창출하고 선도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 jungtae@khu.ac.kr |
황성연 |
부교수 |
공학박사 |
Hanyang University |
Fiber & Polymer engineering/고분자공학 |
지속가능형 바이오복합소재 연구실은 전세계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플라스틱 오염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연에서 분해되는 플라스틱, 탄소저감형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미래소재형 기능성 소재를 연구하고 이를 분해시키는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
crew75@khu.ac.kr |